본문 바로가기
경제지식

서울 노인 버스 무료 신청방법과 조건

by tidmi 2025. 7. 15.

서울 노인 버스 무료 신청방법과 조건
서울 노인 버스 무료 신청방법과 조건

🚍 서울 노인 버스 무료 – 65세이상 버스비 무료 해당될까?

"지하철은 알고 있었지만, 버스도 정말 공짜인가요?"

서울에 거주 중인 65세 이상 어르신이라면, 이제는 지하철뿐 아니라 서울 시내버스, 마을버스도 전면 무료로 이용 가능합니다. 다만 누구나 되는 건 아니고, 반드시 "서울 어르신 복지카드"를 신청하고 받아야 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제도 이해와 신청법이 중요합니다.


65세 생일 지난 다음 달부터 서울 노인 버스 무료 혜택 신청 가능
서울시 주소지 등록자만 가능, 타지역 어르신은 불가
서울시 복지카드가 있어야만 지하철 + 버스 전면 무료
농협은행에서 교통카드 기능 포함된 복지카드 수령 필수

 


🧾 서울 노인 버스 무료 정책이란?

서울시는 65세 이상 어르신의 이동권 확대교통비 부담 경감을 위해, 서울시 거주자 중 일정 요건을 갖춘 이들에게 "지하철 + 시내버스 + 마을버스 전면 무료" 제도를 시행 중입니다.

  1. 지하철은 교통카드 등록만으로 자동 감면
  2. 버스는 별도 '서울 어르신 복지카드(교통카드)' 발급자만 혜택 적용

 

이는 대중교통 이용 횟수나 시간대 제한 없이, 서울 시계 내 모든 구간에서 상시 적용되며 실제로도 병원 방문, 경로당 모임 등 다양한 외출이 가능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시행 주체: 서울시
📌 혜택 대상: 만 65세 이상, 서울시 주소지 등록자
📌 지원 범위: 지하철 + 시내버스 + 마을버스 무제한 무료
📌 사용 카드: 서울 어르신 복지카드 (교통 기능 포함)

 

👉 어르신 교통카드 전용 카드지갑·케이스 모음 (파트너스 활동 포함)
지갑형 릴홀더 사원증 케이스, 블랙, 1개

※ 본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신청 방법과 조건 – 어디서 어떻게?

1. 신청 자격

  • 만 65세 이상 어르신
  • 서울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자

2. 신청 시기

  • 생일 지난 다음 달부터 신청 가능 (예: 5월 생 → 6월 1일부터 신청 가능)

 

3. 신청 방법

  • 동주민센터 방문 접수 또는 서울시청 복지정책과
  • 신분증 + 증명사진 1매 필요

👉 서울시 복지카드 신청 안내 페이지 바로가기

 

👉 서울시 거주지 등록 확인 및 주소 이전 신청

 

정부24

 

www.gov.kr

 

4. 카드 수령 방법

  • 접수 후 약 7~10일 후 문자 수령 안내
  • 농협은행 지점 방문 수령 (교통기능 포함 카드)

👉 서울 내 농협은행 지점 찾기

 

https://branch.nonghyup.com

 

branch.nonghyup.com

 

👉 노인 교통복지 제도 모음 보기
https://wis.seoul.go.kr/wfs/snw/seniorWelfareInnovation.do

5. 사용 전 등록

  • 받은 복지카드는 최초 1회 교통카드 단말기에 접촉해야 무료 기능이 활성화됨

💡 실전 활용 꿀팁

  1. 서울 외 지역에서는 이 카드로 무료 안 됨
  2. 타인 대여 시 무효, 적발 시 카드 회수
  3. 환승 시에도 자동으로 무료 적용되며, 별도 조치 필요 없음
  4. 카드 분실 시 즉시 재발급 가능하나 유료 처리됨 (수수료 약 3천 원 내외)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왜 지하철은 자동으로 무료인데 버스는 카드가 따로 필요한가요?
A. 지하철은 국가차원 통합 시스템으로 주민등록 연동 감면이 자동화되어 있으나, 버스는 서울시 독자 운영 체계라 별도 카드 발급 필요합니다.

 

Q2. 경기·인천 어르신은 서울에서 무료 이용 안 되나요?
A. 안 됩니다. 서울시 등록자만 해당되며 타 지역 주소지 어르신은 해당 카드로도 혜택 불가합니다.

 

Q3. 카드 수령 전에 버스 이용하면 환급되나요?
A. 아닙니다. 수령 전 사용 요금은 환급 불가이며, 등록된 복지카드로만 무료 이용 가능합니다.


서울 노인 버스 무료 정책은 단순한 교통비 지원을 넘어 외출·의료·활동 기회의 확대라는 큰 의미를 지닙니다.

👉 아직 신청하지 않으셨다면, 오늘 가까운 주민센터에서 접수해보세요.
👉 서울 어르신 복지포털에서 동별 상세 정보도 함께 확인 가능합니다.
👉 서울시 복지포털 바로가기

 

서울복지포털

 

wis.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