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기초연금 부부수령액 실사례로 보는 모의계산법

폴리브리핑 2025. 10. 8. 21:29

 

기초연금 부부수령액 실사례로 보는 모의계산법
기초연금 부부수령액 실사례로 보는 모의계산법

부부가 함께 받는 기초연금, 2025년 기준으로 얼마나 될까?

2025년 7월 이후, 기초연금 제도가 개편되면서
“부부가 동시에 받으면 금액이 줄어드는지”, “두 사람 다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문의가 폭발적으로 늘었습니다.

그동안은 부부가 모두 기초연금 대상일 경우 일정 비율이 감액 적용됐지만,
올해부터는 **‘부부감액 폐지’**가 본격 시행되면서 계산 방식이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이 변화로 인해 실제 지급액이 얼마나 되는지,
또 부부가 모두 연금을 받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무엇인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죠.

오늘은 2025년 개편 내용을 기준으로
부부가 함께 받을 수 있는 금액 구조와 실제 사례별 수령액을
차근차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지금 확인할 핵심 요점

  • 2025년 7월 1일 이후, 부부가 함께 기초연금을 신청해도 감액 없이 각자 지급
  • 단, 소득인정액 기준(부부 합산 약 139만 원)은 충족해야 함
  • 실사례에 따라 월 70만 원~81만 원 수령 가능

 

 


기초연금 부부 동시 수급, 제도가 이렇게 바뀌었습니다

2025년 7월부터 기초연금법 개정에 따라 기존 부부감액 제도는 폐지되고,
부부 모두 수급 요건을 충족하면 각자 전액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 주요 개정 내용 요약

  1. 기초연금 부부감액 폐지: 부부가 모두 조건 충족 시 각 403,690원까지 수령 가능
  2. 소득인정액 기준 유지: 부부 합산 소득이 139만 2천 원 이하일 것
  3. 지급 방식 변경: 부부여도 개별 심사 및 개별 지급, 1인 기준 적용

2025년 기준 단독가구 최대 수령액: 403,690원
부부 모두 수급 시 최대 합산액: 약 81만 원

 

※ 참고: 기초생활보장 생계·의료급여 수급자의 경우, 연계 감액이 따로 적용되므로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실제로 부부가 받는 금액은 얼마나 될까?

2025년 기초연금 부부감액 폐지 이후, 각 가정의 상황에 따라 수령액은 조금씩 다르게 계산됩니다.
아래 세 가지 사례는 실제 기준을 적용한 예시입니다.


사례 ① 서울 거주, 자녀와 따로 사는 부부 (월소득 120만 원)

  • 남편 70세, 아내 68세
  • 부부합산 소득인정액 120만 원으로 기준 이하
  • 감액 기준에 해당되지 않아 각자 월 403,690원씩 지급
    ➡️ 부부 합산 월 807,380원 수령

설명:
기초연금 부부감액이 폐지되면서 동일 금액을 각각 지급받습니다.
이전에는 부부가 함께 받을 경우 20%가량 삭감됐지만, 이제는 감액 없이 전액 수령이 가능합니다.


사례 ② 경북 지역 전세 거주 부부 (월소득 132만 원)

  • 남편 69세, 아내 66세
  • 부부합산 소득인정액 132만 원으로 기준선 이내
  • 감액 없이 부부 모두 지급 대상
    ➡️ 실수령액은 월 약 80만 원대 초반, 지역보험료와 공제액에 따라 소폭 조정 가능

설명:
소득인정액이 기준 이하인 경우 부부 모두 동일 금액을 수령하며,
주거 형태(전세·자가)는 실제 수급액 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사례 ③ 부부 중 한 명만 조건 충족 (광주 거주)

  • 남편 67세, 아내 64세
  • 아내는 연령 미달로 대기 상태
  • 남편만 수급자로 등록되어 월 403,690원 수령
    ➡️ 총 수령액: 월 403,690원, 배우자가 65세 도달 시 동일 금액 추가 수령 가능

설명:
부부 중 한 명만 연령 요건(만 65세 이상)을 충족한 경우,
우선 한쪽 배우자에게만 지급됩니다.
이후 나머지 배우자가 자격을 갖추면 같은 금액을 받게 됩니다.

 


📝 어디서 신청할 수 있을까? – 기초연금 신청 조건과 절차 안내

기초연금은 일정한 연령과 소득 기준을 충족하면 직접 신청해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부터는 신청 경로와 서류 기준이 더욱 간소화되어, 온라인·오프라인 모두에서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구분 세부 내용

신청 자격 만 65세 이상 고령자 중 소득하위 70% 이하 대상
소득 기준 부부 기준 월 소득인정액 139만 2천 원 이하
신청 경로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www.bokjiro.go.kr),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
필요 서류 기초연금 신청서, 신분증, 통장 사본, 가족관계증명서, 재산 및 금융 관련 증빙서류
지급 시점 접수한 달의 다음 달부터 지급 개시 (심사 후 확정)

 

💡 신청은 반드시 본인이 직접 해야 하며, 부득이하게 방문이 어려운 경우에는 위임장을 통해 가족이 대신 접수할 수 있습니다.
모든 서류는 최신 발급분(3개월 이내)을 지참해야 하며, 기초연금 신청서는 복지로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거나 현장에서 바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신청서와 위임장은 모두 최신 양식으로 갱신되어 있으니 다운로드 후 작성하세요.

[별지 1의2] 소득·재산 신고서(신규¸ 변경)(사회보장급여 관련 공통서식에 관한 고시).hwp
0.07MB
2025년 기초연금 사업안내.pdf
3.39MB
금융정보 등(금융·신용·보험정보) 제공 동의서(사회보장급여 관련 공통서식에 관한 고시).hwp
0.09MB
사회보장급여 신청(변경)서(사회보장급여 관련 공통서식에 관한 고시).hwp
0.13MB

 

 


기초연금 수급 팁 – 이렇게 하면 놓치지 않습니다

  1. 배우자와 소득인정액 합산 시점을 반드시 체크
  2. 자동 지급이 아니라 신청제도라는 점 꼭 기억
  3. 모의계산기 활용으로 예상 수령액 미리 파악 가능

 

👉 기초연금 모의계산기 바로가기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bz/mkclAsis/mkclPage.do
 간단한 소득·재산 입력만으로 기초연금 수급 가능성 자동 계산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bz/mkclAsis/mkclPage.do

 

www.bokjiro.go.kr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부부가 함께 신청하면 모두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나요?
→ 그렇지 않습니다. 두 분 모두 만 65세 이상이어야 하고,
부부의 소득인정액이 월 139만 2천 원 이하일 때만 각각 수급이 가능합니다.
연령이나 소득 조건 중 하나라도 초과되면 일부만 지급되거나 심사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Q2. 부부감액 제도는 완전히 없어진 건가요?
→ 네, 맞습니다. 2025년 7월 1일부터는 부부감액 제도 자체가 폐지되었습니다.
이제 부부가 함께 받더라도 감액 없이 동일 금액을 각각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여전히 소득인정액 기준은 유지되기 때문에 이를 초과하면 감액이 아닌 탈락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Q3. 기초생활수급자도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요?
→ 생계급여나 의료급여를 받는 분도 기초연금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급여 항목 간 연계 조정이 이뤄져 일부 감액이 반영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개정 이후에는 대부분의 경우 월 32만~40만 원대 수준으로 지급됩니다.


 

기초연금은 신청한 사람만 받습니다

2025년 7월부터 기초연금 제도는 바뀌었지만,
여전히 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는 제도입니다.

특히 부부가 함께 수급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 만큼,
지금 조건을 확인하고 꼭 신청을 마치시길 바랍니다.

 

👉 지금 복지로에서 수령 가능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 부부 모두 신청 시, 교통복지카드·실버지원제도 등 추가 혜택도 함께 챙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