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차이, 2025년 기초연금 40만원 시대의 진짜 기준은?
“국민연금을 꾸준히 냈는데, 왜 기초연금은 받을 수 없다는 걸까?”
“둘 다 연금인데, 왜 나는 하나만 해당될까?”
이런 질문은 은퇴 세대 누구나 한 번쯤 마주하는 혼란입니다.
비슷해 보이지만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은 근본이 다른 제도입니다.
이 차이를 제대로 알면, 65세 이후 매달 수십만 원의 차이가 생깁니다.
핵심 요약
-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차이 : 납입 이력에 따라 받는 ‘노령연금’, 소득 기준으로 받는 ‘기초연금’
- 기초연금 40만원 시대 : 2025년부터 단독가구 월 40만 원, 부부가구 월 64만 원
- 두 연금은 동시 수급 가능, 다만 국민연금 수령액이 높을수록 일부 감액
① 같은 이름의 ‘연금’, 전혀 다른 기준선
‘연금’이라는 이름만 같을 뿐, 두 제도는 시작점부터 다릅니다.
- 노령연금은 국민연금에 가입하고 보험료를 낸 사람에게 지급되는 제도입니다.
즉, 내가 낸 만큼 돌려받는 구조입니다. - 반면 기초연금은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만 65세 이상 어르신에게
국가가 보장하는 복지성 급여로 제공됩니다.
결국 노령연금은 ‘근로 기반의 보장’,
기초연금은 ‘생활 기반의 지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②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구조
| 구분 | 기초연금 | 노령연금 |
|---|---|---|
| 법적 근거 | 기초연금법 | 국민연금법 |
| 수급 연령 | 만 65세 이상 | 만 62세 이상 (2033년까지 단계적 상향) |
| 수급 기준 | 소득인정액 하위 70% | 가입기간 10년 이상 |
| 월평균 수령액 | 최대 40만원 (단독기준) | 평균 60~100만원 |
| 지급 주체 | 보건복지부 | 국민연금공단 |
한 줄로 정리하면,
기초연금은 소득 중심, 노령연금은 납입 중심 제도입니다.
기초연금 예상수급액은 복지로 공식사이트 내 ‘기초연금 모의계산기’ 메뉴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청 전 내 소득인정액이 기준에 해당되는지 꼭 계산해보세요.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bz/mkclAsis/mkclInsertBspnPage.do
www.bokjiro.go.kr

③ 기초연금 40만원, 2025년 실수령 조건
기초연금은 해마다 물가 상승률에 따라 오르며,
2025년부터는 단독가구 월 최대 40만 원, 부부가구 최대 64만 원까지 상향됩니다.
1️⃣ 소득인정액 기준
- 단독가구 : 249만 원 이하
- 부부가구 : 398만 원 이하
2️⃣ 재산 기준 반영
- 대도시 : 1억 3,500만 원
- 중소도시 : 8,500만 원
- 농어촌 : 7,500만 원 초과 시 일부 감액
3️⃣ 노령연금 병행 수급 여부
두 제도는 중복 수령 가능합니다.
다만 국민연금 수령액이 높을 경우, 기초연금 일부 감액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2025년부터는 감액 구간이 완화되어 국민연금 수급자도 기초연금 일부 혜택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④ 신청방법 – 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습니다
기초연금은 자동으로 지급되지 않습니다.
직접 신청하지 않으면 아무리 조건이 맞아도 한 푼도 받을 수 없습니다.
1️⃣ 신청 시기
- 만 65세 생일이 속한 달의 한 달 전부터 신청 가능
- 생일 한 달 전 신청 시, 해당월부터 소급 지급 가능
2️⃣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 → 상단 메뉴 ‘기초연금 신청’
- 방문 신청: 주민등록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https://www.bokjiro.go.kr/ssis-tbu/
www.bokjiro.go.kr
3️⃣ 필요 서류
- 신분증, 통장 사본, 배우자 정보, 위임장(대리 신청 시)
4️⃣ 심사 및 지급 일정
- 접수 후 약 1~2개월 내 결정 통보
- 매월 25일 정기 지급 (공휴일일 경우 전일 지급)
한 달만 늦어도 수십만 원의 차이가 납니다.
65세 생일 한 달 전에는 반드시 신청 절차를 진행하세요.
국민연금 가입자라면 국민연금공단 공식홈페이지에서 내 납입이력과 노령연금 예상수령액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 제도를 동시에 검토하면, 실제 내 노후 월소득을 구체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⑤ 기초연금, 이렇게 하면 더 유리합니다
1️⃣ 국민연금 납입액이 적을수록 유리
기초연금은 저연금층 보호 목적이므로,
국민연금 납입액이 적거나 가입기간이 짧은 분일수록 수급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부부 수급 감액률 완화
2025년부터 부부 동시 수급 시 감액률이 16.7%로 낮아져
부부가 각각 32만 원씩 받을 수 있습니다.
3️⃣ 감액 구간 완화
기존 월 54만 원 이상 수령 시 감액되던 구간이 완화되어
더 많은 국민연금 수급자가 기초연금 혜택을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
4️⃣ 신청 누락 주의
“65세면 알아서 지급되겠지”라는 생각은 위험합니다.
기초연금은 반드시 신청해야 하며, 미신청분은 소급 불가입니다.
⑥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은 둘 다 받을 수 있나요?
→ 가능합니다. 단,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을 경우 일부 감액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Q2. 기초연금 40만원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 2025년 1월부터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 중입니다.
Q3. 부부가 동시에 신청하면 줄어드나요?
→ 기존보다 감액률이 완화되어, 부부 합산 월 64만 원까지 수령 가능합니다.
Q4. 재산이 많으면 감액되나요?
→ 네. 부동산, 금융자산 등 포함되어 일정 기준 초과 시 일부 감액됩니다.
Q5. 신청 안 하면 나중에 받을 수 있나요?
→ 불가능합니다. 반드시 본인이 신청해야 하며, 생일 한 달 전부터 접수 가능합니다.



⑦ ‘받을 수 있는 연금’을 놓치지 않으려면
기초연금은 국가의 복지,
노령연금은 내가 쌓은 자산입니다.
이 두 축을 함께 이해하면
노후 월소득을 20만~40만 원 이상 높일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초연금 40만원은 단순히 금액 인상이 아니라,
국가가 ‘노후 기본소득’을 제도화하는 신호입니다.
지금 복지로에서 내 소득인정액을 계산해보고,
국민연금공단에서 내 예상 연금액을 함께 확인해보세요.
두 페이지를 열어보는 단 10분이,
당신의 노후를 10년 더 안정적으로 만들어줄 겁니다.
“노후의 불안은 모르는 데서 오고, 안정은 신청에서 시작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