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2025년 중위소득 70% 이하 가구, 지금 받을 수 있는 복지혜택 7가지
“우리도 복지대상이었어요?”
많은 분들이 소득이 낮은 건 맞지만, 정부 복지를 받을 수 있을 만큼은 아닐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2025년 기준, 중위소득 70% 이하만 되어도
생계, 주거, 교육, 에너지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요즘 같은 시기엔 신청 안 하면 그냥 사라지는 지원금이 너무 많죠.
지금 우리 가정이 받을 수 있는 복지, 놓치지 마세요.
✅ 중위소득 70% 이하 가구의 혜택 포인트
- 생계·주거·교육·에너지 등 7가지 맞춤형 복지 지원
-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확인 필수, 차량·재산 포함
- 복지로에서 모의계산 → 온라인 신청 가능
중위소득이란? 기준표부터 확인하세요
중위소득이란 전체 가구의 소득을 낮은 순부터 높은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정부의 모든 복지제도는 이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30%, 46%, 50%, 70%, 100% 등 구간별로 자격요건을 나눕니다.
✅ 2025년 중위소득 100% 기준표
가구원 수 | 중위소득 100% (원) | 중위소득 70% (원) |
---|---|---|
1인 | 2,161,000원 | 1,513,000원 |
2인 | 3,591,000원 | 2,514,000원 |
3인 | 4,627,000원 | 3,239,000원 |
4인 | 5,658,000원 | 3,960,000원 |
5인 | 6,649,000원 | 4,654,000원 |
👉 즉, 4인 가구 기준 월 소득이 396만 원 이하라면
복지 제도의 상당수를 신청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복지로에서 우리 집 기준으로 자격 확인해보세요
https://www.bokjiro.go.kr
중위소득 70% 이하 가구가 받을 수 있는 복지 7가지
1. 생계급여 – 매달 현금 지원
- 중위소득 30% 이하가 원칙이지만,
지자체 재량에 따라 70% 이하까지 일부 지급 - 지급액: 1인 약 60만 원부터, 가구원 수별 차등
- 부가혜택: 의료급여, 건강보험료 감면, 통신비 할인 등
2. 주거급여 – 월세·전세 지원
- 중위소득 46% 이하가 일반 기준
- 그러나 부양의무자 요건이 폐지되면서
70% 이하 가구도 신청 → 지역별 가구 인정 가능성 ↑ - 지급액: 월 최대 40만 원 (지역/가구원 수별)
3. 교육급여 – 초중고 자녀 지원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가 기본이지만,
70% 이하 구간도 지역·학교별 일부 항목 지원 가능 - 항목: 입학금, 교복비, 방과후수업비, 학용품비 등
4. 해산급여·장제급여 – 일시금 지원
- 조건: 기초수급자 외에도
중위소득 70% 이하 가구 중 위기상황 인정 시 지급 가능 - 지급액: 해산 100만 원, 장제 80만 원
5. 에너지바우처 – 여름·겨울 냉난방비
- 조건: 중위소득 70% 이하 + 노약자·영유아·장애인 포함 가구
- 내용: 전기·도시가스 요금 바우처 형태 지급
- 신청시기: 매년 5~6월
6. 긴급복지지원 – 위기 시 생계비 지원
- 조건: 실직, 이혼, 질병 등 위기 발생 시
중위소득 75% 이하까지 탄력적 지원 가능 - 내용: 생계·주거·교육·의료비 항목 지원 (최대 6개월)
7. 국민행복카드 지원 – 임신·출산 시
- 조건: 중위소득 80% 이하가 기본이지만
70% 이하 가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추가지원 대상 - 지급액: 임신 1회당 최대 150만 원(국비+지방비)
📌 임신·출산 가정이라면 국민행복카드도 함께 확인하세요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ca/BizGdnc/moveTWAT54000M.do
신청방법 – 복지로 or 동 주민센터
✅ 신청자
- 세대주 또는 세대원(대리 신청 가능)
- 위임장 및 가족관계증명서 필요 시 제출
✅ 신청방법
방식 | 경로 | 비고 |
---|---|---|
온라인 | 복지로 홈페이지 | 공동인증서 필요 |
오프라인 |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 신분증 + 증빙서류 |
✅ 처리기간
- 신청 후 보통 10일~2주 이내 통보
- 일부 급여는 긴급지원 시 빠르게 지급 가능
이렇게 준비하면 더 빨리 받습니다
- 복지로 모의계산기 활용
신청 전 반드시 복지로 모의계산기에서
‘소득인정액’을 직접 계산해보세요.
👉 복지로 모의계산 모의계산기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bz/mkclAsis/mkclPage.do) - 재산·차량 기준도 함께 확인
→ 가액 포함 시 소득인정액 초과로 탈락 가능성 존재 - 지역복지와 병행 신청
→ 지자체 추가 바우처(출산장려금, 냉방비 등)는 따로 신청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중위소득 100% 초과면 아무 혜택도 못 받나요?
→ 대부분 혜택은 100% 이하 기준이나, 청년·신혼부부·자녀 교육 관련 제도는 예외적 적용도 많습니다.
Q2. ‘중위소득 70% 이하’인데도 탈락했어요. 왜 그럴까요?
→ 재산(부동산, 예금)이나 차량 가액이 소득으로 환산되어
소득인정액 기준을 초과했을 수 있습니다.
Q3. 1인가구인데도 생계급여나 주거급여 받을 수 있나요?
→ 가능합니다. 단, 주소지 전입일, 거주기간, 근로소득 유무 등
세부 항목별 요건 충족 여부가 중요합니다.
Q4. 중위소득 기준은 매년 바뀌나요?
→ 네.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매년 1월 1일 기준으로 조정되며,
해당 연도의 모든 복지제도 기준이 이에 따라 변경됩니다.
“우리는 대상이 아니었을 줄 알았는데…”
많은 가구가 소득 기준만으로 스스로 복지를 포기합니다.
하지만 2025년 기준 중위소득 70% 이하라면,
복지로 통해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지금 바로 복지로에서 모의계산해보세요.
우리 가족이 몰랐던 복지 자격, 그 문이 열릴 수 있습니다.
https://www.bokjiro.go.kr/ssis-tbu/
www.bokjiro.go.kr
'경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랑 상품권 홈페이지에서 꼭 확인! chak 앱·카드·구매 전 알아야 할 모든 것 (0) | 2025.07.07 |
---|---|
인천형 출생정책 천사지원금, 2025년 생일 지난 아이라면 꼭 신청하세요! (0) | 2025.07.07 |
2025년 양육비 선지급제, 당장 지원 가능할까요? 신청 조건부터 서류까지 정리했습니다 (0) | 2025.07.05 |
2025 부모급여 확정! 가정보육 시 월 100만 원, 신청방법부터 지급시기까지 완벽 정리 (0) | 2025.07.04 |
훈련비 500만 원까지! 국민내일배움카드 7월부터 이렇게 바뀝니다 (0) | 2025.07.03 |